비 서울 23 °C
로그인 | 회원가입
09월24일wed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제주도, 그린수소 생산·저장·운송 기술 적용 전략 모색
24일 그린수소 신산업 육성 전략 및 저장·운송 글로벌 표준화 논의
등록날짜 [ 2025년09월24일 19시13분 ]


 

제주특별자치도가 국내 유일 그린수소 생산·공급 지역으로서 글로벌 수소 생태계 구축 전략을 모색했다. 2023년 10월 국내 최초로 그린수소를 상용화한 제주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수소산업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제주도는 24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2025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With 분산에너지 글로벌 포럼)’을 개최하고 그린수소 신산업 육성 전략 및 저장·운송 글로벌 표준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민선8기 제주도정 핵심사업인 ‘지속가능한 그린수소 생태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열린 이번 포럼의 첫날 세션에서는 그린수소 생산·저장·운송기술에 대한 글로벌 전문가들의 고견을 듣고 제주 여건에 맞는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그린수소 글로컬 선도연구센터는 ‘제주 그린수소 신산업 육성 및 상용화 로드맵 구축Ⅰ·Ⅱ’을 주제로 세션을 운영했다.

 

오후 1시에 열린 세션에서는 김상재 제주대학교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장이 좌장을 맡고 이중희 전북대학교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장, 김동연 ㈜블루텍 부설연구소 소장, 임창혁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선임기술원이 패널로 참여해 그린수소 연구 현황과 신산업 육성 전략을 공유했다.

 

오후 3시 세션은 최수석 제주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김영환 제주도 에너지특별보좌관, 강병근 지필로스 상무, 사무엘 존(Samuel John) 나미비아 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해 재생에너지와 수소 연계 전력시장 운영 및 실증현황을 논의했다.

 

패널들은 제주가 2년 여간 국내에서 유일하게 그린수소를 생산·공급하며 수소충전소와 수소버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속가능한 그린수소 생태계 운영을 위해서는 그린수소 생산 및 전력시장 연계 운영기술 개발, 수전해 고효율화, 제도적 지원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린수소 벨류체인 혁신: 저장·운송 글로벌 표준화’ 세션에서는 그린수소의 중장기 저장 및 지역 간 연계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세션은 최승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을 좌장으로 김용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주헌 한국동서발전 수소사업팀장, 카르스텐 밀러(Karsten Mueller) 독일 로스탁대학교 교수, 시에 웨이(Xie Wei) 중국 난카이대학교 화학대학교 부학장이 참여했다.

 

패널들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해 그린수소를 전력 송전망 대체 수단이자 계절간 에너지 불균형(사계절 태양 및 바람 에너지 변화) 해소방안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수소에너지 저장기술이 고상·액상·기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는 만큼 향후 제주여건에 맞는 저장·운송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올해 포럼의 이번 세션들은 제주의 그린수소 생태계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라며 “제주에 맞는 그린수소 생산·저장·운송 기술을 통해 지속가능한 수소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올려 0 내려 0
오석진(영특영석)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김포시,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중대재해처벌법 공직자 교육 실시 (2025-09-24 19:18:22)
2025 대한민국 도시·지역혁신 산업박람회 개최 (2025-09-24 19:08:04)
해양경찰청, 추석 명절 대비 수...
디지털 성범죄 위장수사 시행 5...
용산국제업무지구,‘서울 스마...
경기도 1인가구 177만. 5년째 ...
인천시, 자동차부품 기업 대상 ...
비번에도 도민 안전 지킨 소방...
시민과 함께하는 보건의료 축제...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