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많음 서울 32 °C
로그인 | 회원가입
09월05일fri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강릉 가뭄 재난 대응, 범정부 총동원체계 적극 가동
군·경·소방 등 가용 인력·장비 총동원, 민·관 협업 물 나눔 문화 확산
등록날짜 [ 2025년09월05일 16시54분 ]


 

강릉 지역에 가뭄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국의 인력과 장비가 강릉으로 속속들이 집합하여 가뭄 극복을 위해 온 힘을 모으고 있다.

※ 강릉 지역 주요 수원인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13.5%(9.4.09시 기준)로 역대 최저 기록

 

먼저,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가뭄 재난사태 선포(8.30.19시부) 후, 관계기관 합동 ‘강릉 가뭄 대응 현장지원반’*을 즉시 구성하였다고 밝혔다.

 

현장지원반은 강릉 가뭄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기관 간 협업으로 신속 지원하기 위해 강릉 시청에서 지난 9월 1일부터 함께 근무하고 있다.

* 행안‧환경‧농식품‧국방부, 경찰·소방청, 강원도‧강릉시, 농어촌공사‧수자원공사 등 17명

 

또한, 인력·장비 등 전국적 재난관리자원을 총동원하여 응급 급수 지원체계를 적극 가동하고 있다.

 

소방청은 ‘국가 소방동원령’을 발령(8.30.)하여 전국의 소방차 71대를 강릉에 집결시켰고, 해양경찰청은 5,000톤급의 독도경비함 삼봉호를 전격 투입하여 급수를 지원하였다.

 

또한, 국방부는 금일부터 군인 800여명과 물탱크 차량 400여대를 동원하여 인근 하천 등에서 취수 한 물을 강릉시의 주수원인 오봉저수지에 공급하고 있다.

 

이 외에도 원활한 급수 지원을 위해 국토교통부는 운반급수 차량의 도로 통행료를 면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경찰청은 교통통제 등을 실시하고, 산림청에서는 산불 진화차량과 응급 저수조 등을 지원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에서는 지속적으로 병물과 급수차를 지원하는 등 추가 용수 확보를 위해 힘을 보태고 있다.

* 경기 화성시(6.8만병), 인천시(5.5만병), 대구시(5만병) 등

 

또한, 정부는 인근 저수지 및 남대천 용수 활용을 위한 추가 설비를 설치하고, 농어촌공사·환경부 등 관계기관 간 협업으로 공공 관정 개발, 해수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아울러 물 나눔 문화 확산을 위하여 민·관 협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 2일부터 전국재해구호협회·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전국민 대상 긴급 모금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고, 그에 앞서 약 6만 병의 병물을 강릉시민에게 지원한 바 있다.

 

또한,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을 돕기 위해 기업·시민단체 등 민간에서도 물 나눔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 쿠팡(11.9만병), 새마을 금고(7.2만병), 해태음료(6만병), 밥상공동체(2만병) 등

 

이에 강릉시에서는 병물 247만병(9.3.기준)을 비축하여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 기관에 1차 배부를 완료하였고, 금일부터는 순차적으로 일반 시민에게도 병물을 배부해 나갈 계획이다.

 

행정안전부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강릉의 가뭄 상황 극복을 위하여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면서, “국민께서는 물 나눔에 동참하는 등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올려 0 내려 0
조균우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해양경찰, 기후위기 속 해양폐기물 관리 강화 (2025-09-05 16:41:56)
강릉 가뭄 재난 대응, 범정부 ...
해양경찰, 기후위기 속 해양폐...
경찰청, 보이스피싱 사범 등 필...
서울시, 주거지역 한정 법적 상...
경기도, 수원·용인·GH와 광교...
네트워킹데이로 하나된 대전시-...
생명 살리는 응급처치, 꼭 알아...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